적금가입시 나오는 이자 6.0%라거나 5.8% 이거는 예금이자와 틀리다는 사실!!
당신은 알고 있었나요? :)
네 저는 무식해서 엉뚱하게 계산하고서는 전화해서 따지기도 했답니다.
적금 이자계산방법은 공식으로도 나와있는줄 몰랐네요 :(
적금만기후 이자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아요.
.
.
.
.
[적금 이자계산방법 ]
매월 적금을 붓고 있어도 어떤 방법으로 이자 계산이 되는지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조금 복잡하기 때문이다. 매월 붓는 월부금에 대해 이자 계산이 따로따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아래 산식을 활용하면 어렵지 않게 내가 붓고 있는 적금의 만기 이자를 직접 계산해 볼 수 있다.
매월 적립하는 금액의 월별이자는 수열(등차수열)의 합과 같다
즉 첫째달이자는 첫째달불입액의 이자로 1
둘째달이자는 첫째달불입액과 둘째달불입액의 이자로 2
셋째달이자는 첫째달,둘째달,셋째달불입액의 이자로 3.
넷째달이자는 4
=====================================================
이자의 합산금액은 1 + 2 + 3 + 4 + 5 +...........
계약월수가 N일때 [N*(N+1)]/2 이므로
이 자 = 월 납입액 × 연이율/12 × [계약 월수 (계약 월수 + 1)/2] ---①
원 금 = 월 납입액 × 계약 월수 ---②
부담하는 세금 = 이자 × 세율 ---③
실지 찾는 원리금 = ① + ② - ③
실지 사례
월 납입액 : 50만원, 계약 기간 : 3년(36개월), 연이율 : 6%
이 자 = 500,000원 × 6%/12 × [36(36 + 1) / 2] = 1,665,000원
원 금 = 500,000원 × 36 = 18,000,000원
부담하는 세금 = 1,665,000원 × 10.5%(세금우대인 경우) = 174,825원
실지 찾는 금액 = 1,665,000원 + 18,000,000원 - 174,825원 = 19,490,175원
당신은 알고 있었나요? :)
네 저는 무식해서 엉뚱하게 계산하고서는 전화해서 따지기도 했답니다.
적금 이자계산방법은 공식으로도 나와있는줄 몰랐네요 :(
적금만기후 이자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아요.
.
.
.
.
[적금 이자계산방법 ]
매월 적금을 붓고 있어도 어떤 방법으로 이자 계산이 되는지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조금 복잡하기 때문이다. 매월 붓는 월부금에 대해 이자 계산이 따로따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아래 산식을 활용하면 어렵지 않게 내가 붓고 있는 적금의 만기 이자를 직접 계산해 볼 수 있다.
매월 적립하는 금액의 월별이자는 수열(등차수열)의 합과 같다
즉 첫째달이자는 첫째달불입액의 이자로 1
둘째달이자는 첫째달불입액과 둘째달불입액의 이자로 2
셋째달이자는 첫째달,둘째달,셋째달불입액의 이자로 3.
넷째달이자는 4
=====================================================
이자의 합산금액은 1 + 2 + 3 + 4 + 5 +...........
계약월수가 N일때 [N*(N+1)]/2 이므로
이 자 = 월 납입액 × 연이율/12 × [계약 월수 (계약 월수 + 1)/2] ---①
원 금 = 월 납입액 × 계약 월수 ---②
부담하는 세금 = 이자 × 세율 ---③
실지 찾는 원리금 = ① + ② - ③
실지 사례
월 납입액 : 50만원, 계약 기간 : 3년(36개월), 연이율 : 6%
이 자 = 500,000원 × 6%/12 × [36(36 + 1) / 2] = 1,665,000원
원 금 = 500,000원 × 36 = 18,000,000원
부담하는 세금 = 1,665,000원 × 10.5%(세금우대인 경우) = 174,825원
실지 찾는 금액 = 1,665,000원 + 18,000,000원 - 174,825원 = 19,490,175원
반응형
'지식의 방 >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인상은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0) | 2011.11.18 |
---|